노시보 효과, 플라시보 효과와 반대

노시보 효과란 부정적인 믿음이 실제로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환자들이 위약을 진짜 약으로 믿어서 위약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이다. Nocebo라는 용어는 라틴어 '해를 끼치다'에서 유래되었으며, 1961년 미국의 의사 월터 케네디에 의해 소개되었다. 이번 시간에는 "역 위약효과" 또는 플라시보의 "사악한 쌍둥이"라고도 하는 노시보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노시보 효과 뜻

Nocebo effect는 플라시보 효과와 반대되는 효과로 누군가 또는 무언가가 그들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고 믿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를 말한다.

위약 효과는 환자에게 인체에 직접적인 해를 끼치지 않는 식염수, 설탕, 밀가루 등의 가짜약(위약)을 처방하였을 때 이것이 환자에게 심리적 효과를 발생시켜 환자의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를 말한다.

플라시보 효과가 치료의 실제 치료 효과를 넘어 사람의 기분을 좋게 만드는 반면, 노시보 효과는 사람들의 기분을 더 나쁘게 만든다.


노시보 효과 영향

어떤 사람들에게는 알약이나 시술의 잠재적인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만으로도 실제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노시보 효과는 치료를 더 고통스럽고 덜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원래 예상보다 더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노시보 효과는 메스꺼움, 가려움증, 수면 장애, 식욕 부진, 성기능 장애, 심각한 저혈압, 복통 및 팽만감과 같은 위장 불편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에 대한 믿음이 없는 경우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노시보 효과 사례

  • 환자들은 특정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설탕 알약을 투여받고 메스꺼움, 졸음, 통증 등의 부작용을 예상하라는 말을 듣는다. 설탕 알약만 투여받았을 뿐인데 환자들은 부작용을 경험했다고 보고했다.
  • 1942년 미국 생리학자 월터 캐넌은 'voodoo death'라고 명명한 사건도 노시보 효과에 해당한다. 서인도 제도에 있는 아이티에서 원시 종교인 부두교의 주술사로부터 저주를 받고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저주의 힘에 대한 믿음이 죽음에 이르게 한 주요 원인으로 작용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 한 연구에서는 만성 요통을 앓고 있는 50명에게 유연성 테스트를 실시했다. 절반은 검사가 약간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말을 미리 들었고, 나머지는 그렇지 않았다. 그 후, 통증 유발에 대해 말을 들었던 그룹은 똑같은 시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훨씬 더 많은 통증을 호소했다.
  • 광고, 소셜 미디어 또는 친구나 가족에 의해 촉발된 부정적인 제안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친구가 약의 성분은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싼 약이라 효과가 있을까’라는 말을 들으면 ‘이 약은 너무 싸구려여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느낀다.
  • 기억력과 학습도 노시보 효과에 큰 역할을 한다. 토할 뻔할 정도로 맛이 나쁜 기침 시럽을 먹어야 한다면 다음에는 병을 보는 것만으로도 메스꺼움을 느낄 수 있다.
  • 과거 어떤 선박의 냉동창고에서 한 선원이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죽은 선원이 자신이 죽어가는 과정을 냉동창고 속 벽에 적어놓았다. 그 선원은 ‘동료의 실수로 냉동창고에 갇혀있으며 얼어 죽었다’라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당시 냉동창고의 전원은 꺼져 있었다고 한다. 갇힌 선원은 냉동창고에 갇혔다고 생각하고 엄청난 추위를 느끼게 되었으며, 이런 부정적인 생각이 그를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이다.
  • 담석증 수술 예정이던 한 여성이 본인 배에 칼을 댄다는 사실을 몹시 두려워했다고 한다. 수술대에 올라 수술을 위해 여성의 배에 차가운 알코올로 배를 소독했는데 칼을 댔다고 생각하여 쇼크사를 했다고 한다.
  • 풍토병이 돌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자 감염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발열, 발진, 구토 등의 풍토병 증상을 호소하였다고 한다.